- JEPI ETF란 무엇인지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JEPI ETF는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의 약자로, JP모건이 운용하는 액티브 펀드입니다. JEPI ETF는 미국 대형주와 ELN (Equity-Linked Note)에 투자하여 저변동성과 월배당을 목적으로 합니다. JEPI ETF는 인덱스를 추종하지 않고, S&P 500과 유사한 수익률을 목표로 합니다. JEPI ETF는 2020년 5월 20일에 상장되었으며, 약 8%의 배당률과 0.35%의 운용 수수료를 가지고 있습니다.
- JEPI ETF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 분석합니다. JEPI ETF의 가장 큰 장점은 높고 안정적인 월배당입니다. 현재 배당수익률은 약 10%이며, 월배당금은 최근 주가 범위를 기준으로 약 0.4달러 정도입니다. JEPI ETF는 ELN을 통해 주가 하락 시에도 수익을 보호하고, 주가 상승 시에도 일정 수준의 참여를 가능하게 합니다. JEPI ETF는 포트폴리오 안정성, 저렴한 운용 비용과 무엇보다도 높은 배당수익률이 큰 장점입니다. 하지만 종목 제한, 지수 추종의 한계, 관리자 오류 리스크와 같은 단점도 존재합니다. JEPI ETF는 S&P 500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과 높은 변동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JEPI ETF는 액티브 펀드이므로 운용 성과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JEPI ETF와 비슷한 다른 월배당 ETF들과의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월배당 ETF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입니다. SCHD는 슈워브가 운용하는 패시브 펀드로, 미국 고품질 고배당주로 구성된 ETF입니다. SCHD는 배당성장률이 높고, 배당수익률은 약 3%입니다. SCHD는 저렴한 운용 수수료 (0.06%)와 높은 성장성이 장점입니다. 하지만 배당수익률이 JEPI보다 낮고, 주가 하락 시에도 공매도나 ELN과 같은 방어 전략이 없습니다. 월배당 ETF 중에서 다른 예로는 QYLD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가 있습니다. QYLD는 NASDAQ 100 지수에 대해 커버드 콜 전략을 적용하는 ETF로, 매월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QYLD의 배당수익률은 약 11%이며, 운용 수수료는 0.6%입니다. QYLD는 커버드 콜 전략으로 인해 주가 하락 시에도 일정 수준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 상승 시에는 참여도가 낮아지고, NASDAQ 100 지수에만 투자하기 때문에 다양성이 부족합니다.
- JEPI ETF에 투자하기 위한 방법과 주의사항을 안내합니다. JEPI ETF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미국 주식계좌를 개설하고, JEPI라는 티커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JEPI ETF는 월배당 ETF이므로, 배당금을 재투자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JEPI ETF는 장기적인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하지만 JEPI ETF는 액티브 펀드이므로, 운용 성과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JEPI ETF는 ELN을 사용하므로, ELN의 발행사가 파산하거나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JEPI ETF는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므로, 환율 변동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ETF > ETF Watchlist-Spotlight[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주식 정보 사이트 (0) | 2023.11.01 |
---|---|
2023 6월 [CPI] 소비자 물가 지수 얼마일까? 7월에나오는 물가예상 (0) | 2023.07.03 |
2023 5월 [CPI] 소비자 물가 지수 얼마일까? 6월에나오는 물가예상 (0) | 2023.05.12 |
2023 4월 [CPI] 소비자 물가 지수 얼마일까? 5월에나오는 물가예상 (0) | 2023.05.10 |
3월 FOMC Press Conference, March 22, 2023 요약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