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 나올 2월 CPI는 몇일까...??
일단...인베스팅 CPI 예상치는 6.0% 이다..!! 300.86 이라는데
그럼 전년도 2월 cpi를 알아보니 283.72
283.72 × 1.06 = 300.74
예상치인 0.4가 오른다 했을때 23년도 1월 299.17 × 1.004 = 300.36
그나저나 이번에도 0.4가 올랐을까...?
2. 1월 소비자 물가 지수 요약
Consumer Price Index Summary - 2023 M01 Results
Consumer Price Index Summary Transmission of material in this release is embargoed until 8:30 a.m. (ET) Tuesday, February 14, 2023 USDL-23-0277 Technical information: (202) 691-7000 * cpi_info@bls.gov * www.bls.gov/cpi Media contact: (202) 691-5902 * Press
www.bls.gov
BLS미국 노동 통계부에서 보면
1월 도시 소비자물가지수는 계절적으로 0.5% 상승했고 계절조정이 12월에 0.1% 증가해서 1년전에 비해 6.4% 상승했다.
2022.8 | 2022.9 | 2022.10 | 2022.11 | 2022.12 | 2023.1 | 일년 2023.1 | |
전체 | 0.2 | 0.4 | 0.5 | 0.2 | 0.1 | 0.5 | 6.4 |
음식 | 0.8 | 0.8 | 0.7 | 0.6 | 0.4 | 0.5 | 10.1 |
집에서 먹는 음식 | 0.8 | 0.7 | 0.5 | 0.6 | 0.5 | 0.4 | 11.3 |
집밖에서 먹는 음식 | 0.9 | 0.9 | 0.9 | 0.5 | 0.4 | 0.6 | 8.2 |
에너지 | -3.9 | -1.7 | 1.7 | -1.4 | -3.1 | 2.0 | 8.7 |
에너지상품 | -8.0 | -4.1 | 3.7 | -2.1 | -7.2 | 1.9 | 2.8 |
가솔린 | -8.4 | -4.2 | 3.4 | -2.3 | -7.0 | 2.4 | 1.5 |
연료오일 | -5.9 | -2.7 | 19.8 | 1.7 | -16.6 | -1.2 | 27.7 |
에너지서비스 | 1.8 | 1.2 | -0.7 | -0.6 | 1.9 | 2.1 | 15.6 |
전기 | 1.2 | 0.8 | 0.5 | 0.5 | 1.3 | 0.5 | 11.9 |
가스서비스 | 3.5 | 2.2 | -3.7 | -3.4 | 3.5 | 6.7 | 26.7 |
식량과 에너지를 제외 | 0.6 | 0.6 | 0.3 | 0.3 | 0.4 | 0.4 | 5.6 |
식료품과 에너지제외상품 | 0.4 | 0.0 | -0.1 | -0.2 | -0.1 | 0.1 | 1.4 |
신차 | 0.8 | 0.7 | 0.6 | 0.5 | 0.6 | 0.2 | 5.8 |
중고차 | -0.2 | -1.1 | -1.7 | -2.0 | -2.0 | -1.9 | -11.6 |
의류 | 0.3 | 0.0 | -0.2 | 0.1 | 0.2 | 0.8 | 3.1 |
의료용품 | 0.2 | -0.1 | 0.0 | 0.2 | 0.1 | 1.1 | 3.4 |
서비스 | 0.6 | 0.8 | 0.5 | 0.5 | 0.6 | 0.5 | 7.2 |
주거지 | 0.7 | 0.7 | 0.7 | 0.6 | 0.8 | 0.7 | 7.9 |
수송서비스 | 1.0 | 1.9 | 0.6 | 0.3 | 0.6 | 0.9 | 14.6 |
의료서비스 | 0.7 | 0.8 | -0.4 | -0.5 | 0.3 | -0.7 | 3.0 |
3. 닭이 다 죽어서 달걀이 없음.
그 중에서 눈에 띄는 것은 식품인데 최근 미국에 조류바이러스로 닭이 많이 죽었다고 한다. 그래서 달걀값이 올랐는데 식품지수에서 1월에 0.5퍼센트 상승했고, 가정의 식품지수는 0.4퍼센트 상승했다. 그중에서 달걀지수가 8.5% 상승하면서 전월대비 0.7% 상승해버린 것이다. 거희 예전보다 요즘은 2배 넘는 가격에 거래 중이라고 한다. 그래서 최근에도 계속 오를려나 봤더니 사람들이 이제 닭을 키우고 있다고한다. 심지어 구글 검색에서 '병아리 사육'의 검색량이 엄청 큰 폭으로 늘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번 2월 달걀값은 그래도 조금 떨어지지 않았을까 한다.
그나저나 달걀값이 오르다 보니 시리얼 및 베이커리 지수제품은 한 달 동안 1.0% 상승해 버렸다. 만약 2월에 사람들이 닭을 키워서 달걀을 확보했다면 베이커리쪽도 좀 떨어졌을 수도 있을꺼 같다.
반면에 1월에 과일과 채소 지수는 한 달 동안 0.5% 하락했고 지수는 2.3% 하락했다. 유제품 및 관련 제품의 지수는 1월에도 변동이 없었다. 2월에도 큰 변화는 없을꺼 같다. 비료값도 천연가스가 내려가면서 하락했고 유지하거나 조금 하락했을꺼 같다.
에너지는 12월에 좀 많이 떨어지면서 1월에는 오를꺼 같았는데 올랐었다. 그런데 2월에는 천연가스도 많이 떨어졌고 석유도 오르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해서 유지하거나 떨어졌을꺼 같다.
1월에 휘발유 지수가 2.4% 상승했고 에너지 지수는 2.0% 상승했었다. (계절 조정 전, 휘발유 가격은 1월에 3.2% 올랐다.)한 달 동안 천연가스는 6.7퍼센트 상승했고, 전기 지수는 0.5퍼센트 상승했다. 2월에는 그래도 떨어지지 않았을까 한다.
4. 높아지는 서비스물가
식품과 에너지를 뺀 모든 품목의 지수는 1월에 0.4퍼센트 상승했다. 주거비 지수는 전월대비 0.7% 상승했는데 아무래도 집 가격이 하락하다보니 월세를 계속 올려 받고 있는거 같다. 임대료 지수 0.7% 상승했고 해외숙박지수는 1.2% 상승했는데 여행수요가 늘면서 해외숙박지가 많이 오른거 같다. 2월달에는 임대료는 슬슬 떨어지더라도 해외숙박지수는 여행수요가 더 늘꺼 같아서 오를 듯한다.
1월달 자동차 보험 지수는 1.4퍼센트 상승했는데 이건 갱신을 1월달에 많이하면서 몬가 보험사쪽에서도 새해 인건비 상승등 고려해서 올려서 이렇게 많이 오른 듯해서 2월달에도 비슷하거나 더 오를 수도 있을 듯한다.
레크리에이션 지수는 0.5%가 올랐고 의류 지수는 0.8% 상승했다. 통신 지수는 0.4% 증가했었다.
1월 의료보험지수는 0.1감소하면서 0.4% 하락했다. 병원 서비스에 대한 지수는 한 달 동안 0.5 퍼센트 증가했고 에 대한 처방약들은 1월에 2.1퍼센트 증가했다. 아무래도 코로나가 끝나가는 시점이라 병원쪽은 가격이 떨어져 가는 거 같은데 약값은 몬가 인거비 때문인지 오르는 듯한다.
5. 그래서 3월14일 나오는 2월CPI
9시 30분에 나오겠지만 1월이랑 비슷한 0.4가 예상치인걸 보면 에너지나 식품쪽은 조금떨어지고 서비스쪽이 올랐을꺼 같다. 물류비나 여행쪽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잘 안떨어질거 0.4가 맞을꺼는 같다 그러면 6.0% 인데...
만약에 계란값이 크게 잡혀서 식품쪽이 많이 내려간다면 0.3이나, 0.2가 나오면 수치가 엄청크게 달라진다.
2월 CPI 0.3 이라면 | 299.17 × 1.003 = 300.06 | 283.72 × 1.058 = 300.17 | 5.8 |
2월 CPI 0.2 이라면 | 299.17 × 1.002 = 299.76 | 283.72 × 1.057 = 299.89 | 5.7 |
근데 중요한건 다음 4월에나오는 3월 CPI가 심하게 급락 할수도 있지 않나 싶다. 작년 2월 3월이 전쟁으로 엄청 올랐던 때라 5.2나 초반까지 내려올수도 ㅇㅅㅇ??
'ETF > ETF Watchlist-Spotlight[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6월 [CPI] 소비자 물가 지수 얼마일까? 7월에나오는 물가예상 (0) | 2023.07.03 |
---|---|
2023 5월 [CPI] 소비자 물가 지수 얼마일까? 6월에나오는 물가예상 (0) | 2023.05.12 |
2023 4월 [CPI] 소비자 물가 지수 얼마일까? 5월에나오는 물가예상 (0) | 2023.05.10 |
3월 FOMC Press Conference, March 22, 2023 요약 (0) | 2023.03.23 |
2023 3월 [CPI] 소비자 물가 지수 얼마일까? 4월에나오는 물가예상, CPI예상 4.8% 정도?? (0) | 2023.03.15 |